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지리학의 연구방법에 따른 분류

알아가는 땅의 모든정보

by 대한민국 No.1 2019. 5. 28. 14:26

본문

 지리학을 분류할 때 여러가지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분류방법으로 접근 방법 혹은 연구 방법에 따른 분류가 사용된다. 이를 통해 지리학을 분류하면 계통지리학과 지역지리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계통지리학은 특정 주제에 대해 지리적으로 접근하여 일반적 원리를 도출하는 연구방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계통지리학은 그 주제의 성격에 따라 인문지리학과 자연지리학으로 분류한다. 지리학 하나만으로도 정말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할 수 있는 것이다. 제일 먼저 인문지리학에 따른 분류를 알아보고 싶어졌다.

 

 인문지리학은 인간활동의 공간적 조직, 인간 환경간의 연관성을 탐구하는 분야이다. 인간에 의하여 공간조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탐구하고, 어떤 형태인지를 탐구한다. 공간의 의미에 대해서도 설명하는 분야이다. 내가 보기엔 인문지리학만큼 다양하고 넓은 분야로 구분할 수있는 연구대상이 있을까? 생각이 들정도로 정말 넓고 다양하다.  

출저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B%A6%AC%ED%95%99#/media/File:RERParisVision2025.png

개인적으로 우리일상에서 가장 밀접하고 친숙한 교통지리학의 사진을 첨부해본다. 인간의 관심 대상의 움직임, 연결을 연구하는 경제지리학의 분과이다.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다음과 같은 분야도 생겨났다. 행동주의 지리학, 여성주의 지리학, 문화이론, 지리철학 등이 있다.

 

 자연 지리학은 말 그대로 자연에 대한 지리적 내용을 다루는 분야이다. 지구과학의 성격이 강한 분야이다. 자연과 환경의 구성요소, 상호작용, 공간적 분포에 대해 탐구하는 분야이다. 

 

 지리정보학은 1950년대 중반의 계량혁명이후에 새롭게 떠오른 분야이다. 지도학, 지형학에서 쓰인 공간과 연관된 기술과 컴퓨터에 대한 응용을 포함한다. 지리정보학은 GIS와 원격 탐사를 쓰면서 다른 학문과도 연관된 폭넓은 학문이 되었다. 지리학과가 다시 살아나게 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는데, 특히 1950년대 이후로 침체기를 겪었던 북미의 지리학과에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다. 지리정보학은 공간분석과 연관된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이 분야에는 지도학, 원격탐사, GIS, GPS가 있다.

 연관분야에는 1) 도시계획, 지역계획 : 지리학의 이론을 응용한다. 이는 안전, 미, 경제적 기회, 자연 유산이나 인조 유산의 보존과 같은 기준을 만족시키도록 땅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마을과 도시와 교외지역에 대한 계획은 응용 지리학으로 생각할 수 있다.  2) 지역과학 : 1950년대에 윌터 아이사드가 이끄는 지역 과학 운동이 일어났다. 지리적인 질문에 더욱 계량적이고 분석적인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였다. 묘사,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전통적인 지리 과정과는 대비되는 것이다. 지역 과학은 공간적 차원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분야를 포함한다. 지역지리학, 자원관리, 위치이론, 도시계획, 교통, 통신, 인문지리학, 인문지리학, 인구분포가 그 예이다. 3)행성과학 : 지리학이 지구를 주로 다루었지만, 지리학에서는 다른 세계를 묘사하는 데 쓰일 수도 있다. 태양계의 행성이나 더 멀리 있는 것처럼 말이다. 지구보다 더 큰 체계를 연구하는 것은 천문학의 일부를 이룬다.  이 모든것을 다 과학의 발전으로 이룩하고 발전되어간것이 정말 많을것이다. 특히나 영화소재로도 많이 쓰이는것을 본적이 많다. 

 

 통시적인 특징을 띤 과학인 지리학은 공간적인 상호연관성을 중요하게 여긴다. 그래서 지도는 지리학의 중요한 도구이다. 고전적인 지도학에 지리적 분석의 현대적인 방식인, 컴퓨터를 기반으로한 지리 정보 체계가 자리잡고 있다. 지리학에서는 지리학자가 쓰는 서로 연관된 네가지 접근방식이 있다.

1. 체계적 방식 : 지리적인 지식을 세계적으로 탐구할 수 있는 범주로 묶는다.

2. 지역적 방식 : 행성 상의 장소나 특정한 지역에 대한 범주 사이의 체계적인 관계를 관찰한다.

3. 서술적 방식 : 사상과 인구의 위치를 간단히 명시한다.

4. 분석적 방식 : 특정 지리적 지역에서 왜 지리적 사상과 인구를 탐구하는지 묻는다.

 

 지난번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를 알아보면서 지도학에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 지도학은 지구의 표면을 추상적인 기호로 표현하는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다. 지리학의 다른 분과가 연구에서 얻은 분석결과를 나타내는 데 지도를 사용하고 있어서 분리해서 생각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나, 지도를 만드는 것은 추상적이기 때문에 분리해서 생각할 수 있다. 지도학은 지도를 작성하는 기술에서 실제 과학으로 발전했다. 

 지도학자는 인지심리학과 인체 공학을 알아내야 한다. 어떤 기호가 지구를 가장 효과적으로 나타내야 하는지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지도를 보는 사람들이 정보에 따라 행동할 수 있도록 행동심리학도 알아야 한다. 지구의 모양이 보기 위한 평평한 표면 위에서 어떻게 왜곡되는지 알기 위해서는 측지학과 고급의 수학을 알아야 한다. 지도학은 지리학의 넓은 영역이 자라나는 씨앗이라고 볼 수 있다. 지리학자 중에서는 어린 시절의 지도에 대한 깊은 관심이 지리학의 길로 이끌었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출저 https://ko.wikipedia.org/wiki/%EC%A7%80%EB%8F%84%ED%95%99

상세지리는 컴퓨터에 의해 지구에서 자동으로 검색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다룬다. 이것이 지리 정보 체계이다. 정보의 목적에 따라 적당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지리학의 수많은 세부분야와 더불어,  GIS전문가는 컴퓨터 과학과 데이터베이스 체계를 이해해야 한다. GIS는 지도학에 혁명을 일으켰다. 거의 모든 지도제작은 GIS소프트웨어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진다. 지리 정보체계는 한다. 이것이야말로 최근 발전을 이룩하면서 생겨난 새로운 지리 정보 체계가 아닐까 싶다.

 

 원격 탐사는 지구상의 사물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 측정하여 그 사물에 대한 정보를 얻은 과학이다. 원격으로 얻은 정보는 다양한 형태를 띤다. 위성 사진, 항공사진이 그 예이다. 지리학자들이 원격 탐사를 통해 얻은 지표, 해양, 대기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는 빈도가 늘어나고 있는데, 다음과 같은 이유라고 한다.

-다양한 공간적 척도에서 객관적 정보를 제공한다.

-관심 지역을 다양한 관점에서 관찰할 수 있다.'

-멀거나 접근이 불가능한 장소도 다룰 수 있게 한다.

-가시광선 이외의 영역의 전자기파를 볼 수 있게 하여, 이 영역으로 관찰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사물이나 지역이 어떻게 시간에 따라 바뀌는 지에 관한 연구를 촉진시킨다.

원격탐사로 얻은 정보는 다른 디지털 정보와 같이 분석하거나, 정량적 기법의 방법에 지리학자가 많은 기여를 한다.

 지리학적 정성적 기법, 또는 민족지적 연구 기법은 인문지리학자가 사용하는 기법이다. 문화지리학에서는 예로부터 정성적인 기법을 써왔다고 한다. 인류학과 사회학에서도 쓰이는 기법이다. 참여자 관찰이나 심층 인터뷰는 정성적 자료를 얻는 방법니다. 이외에도 지구과학이나 지리정보체계, 지리학의 역사에 대해 더 배워보면 재미 있을 것 같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